연구교수 및 전임연구원
연구교수
유나리 (Nari Yoo)
- 학력사항
- 2009. 02.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행정학 학사, 법과대학 법학사
- 2012. 08.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국제정치학 석사
- 2019. 02.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 박사
- 박사학위논문: 공공조직의 성과관리와 학습 - 조직적응과 성과피드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- 대표 실적
- 유나리·김도윤. (2018). 지위의 역설 - 지위는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가?: 사회적 관계의 양면적 효과. GRI연구논총, 20(1): 201-229.
- Sohn, Hyuk-Sang & Yoo, Nari. (2015). Motivation for Aid Allocation and Political Ideology: A Case Study of South Korea. Pacific Focus, 30(3): 344-371.
김태형 (Tae Hyung Kim)
- 학력사항
- 2008. 02. 상명대 행정학 학사
- 2013. 02.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 석사
- 2020. 02.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 박사
- 박사학위논문: 지방정부의 역량과 정책수단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- 대표 실적
- 김태형·문명재. (2019). 정보환경의 변화와 국가정보활동에 관한 연구: 국가정보활동 기능과 역할에 대한 퇴직요원의 인식을 중심으로. 현대사회와 행정, 29(2): 87-128.
- Odkhuu Khaltar・김태형・ 문명재. (2019). 위험사회와 미래정부의 역량: 정부의 민첩성, 관리역량, 그리고 정부신뢰가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. 정부학연구, 25(1): 209-244.
- 김태형・김한빛・문명재. (2019). 정부의 역량과 정부간 협력에 대한 인식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. 한국지방행정학보, 16(2): 1-36.
- Kim, T. H., & Moon, M. J. (2017). Using social enterprises for social policy in South Korea: Do funding and management affect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?. Pub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, 37(1): 15-27.
전임연구원
송현진 (Hyun Jin Song)
- 학력사항
- 2009. 02.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문학사/경제학사
- 2015. 08.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 석사
- 2021. 02.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 박사
- 박사학위논문: 일선관료의 조직 침묵에 관한 연구 -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- 대표실적
- 송현진 & 조윤직. (2020).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이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: 실제 근로조건과 상대적 근로조건의 비교. 한국인사행정학회보, 19(4), 155–188.
- Cho, Y. J., & Song, H. J. (2020). How to Facilitate Innova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: Evidence From Public Employees in Korea. Public Personnel Management. https://doi.org/10.1177/0091026020977571
- Kwon, M., Cho, Y. J., & Song, H. J. (2019). How do managerial, task, and individual factors influence flexible work arrangement participation and abandonment?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. https://doi.org/10.1111/1744-7941.12251
- 송현진, 김선형, & 조윤직. (2019). 정부역량에 관한 국민의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: 정치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. 현대사회와 행정, 29(1), 63–91.
- 송현진, & 조윤직. (2018). 공공조직 내 저성과자 비율에 관한 연구: 결정요인과 영향력의 탐색. 현대사회와 행정, 28(4), 129–157.